가습기는 물을 분무 하거나 증발시켜서 수증기로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는 기구로 특히 겨울철에 많이 사용되는데요 가습기의 반대 역할을 하는 기구는 제습기로써 그 기능이 서로 반대됩니다.
가습기는 방식에 다라서 그 종류가 나뉘는데요
초음파 진동식 가습기는 초음파로 물을 진동시켜서 잘게잘게 쪼개서 아주 미세한 물방울을 뿜어내는 방식으로 가장 흔하게 볼수 있는 가습기 작동 방식입니다. 초음파 진동식 가습기는 물속의 불순물도 그대로 쪼개서 분무하기 때문에 혹시 모를 오염 물질을 사람이 흡입할수있는 위험이 있고 세균등 보건 문제에서 초음파 진동식 가습기가 가장 취약하다고 할수가 있습니다.
가열식 가습기는 전기로 물을 끓여서 수증기로 만들어 내보낸느 방식으로 물을 끓이기 때문에 세균으로 부터 안전하고 물속에 녹아있는 불순물들이 공기로 방출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가열하면서 뜨거운 공기가 나오기 때문에 겨울철 난방에도 도움을 주는데요 하지만 전기를 많이 사용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증발식, 기화식 가습기는 물을 팬에 적셔서 바람을 불어 증발시키는 방식과 그냥 물을 증발시키는 방식의 가습기로 물순물이나 세균이 공기중으로 분무되지 않으며 자연적으로 습도를 올리는 방식이라 가장 쾌적하게 사용할수 있는 방식입니다. 하지만 그냥 물을 증발시키는 방식의 가습방법은 그 속도가 매우 느리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노즐식은 좁은 직경의 노즐에서 물을 고압으로 살포하며 미세한 물입자들을 방출하는 방식으로 일반 가정에서는 잘 사용하지 고 산업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방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