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독감예방접종 시기 비용 무료 대상 총정리

독감예방접종 시기 비용 무료 대상자

독감예방접종, 매년 꼭 맞아야 하나요? 2025-2026년 무료 대상자부터 접종 시기, 비용까지 궁금증을 한 번에 해결하세요. 건강한 겨울을 위한 필수 가이드를 지금 확인하세요!

독감예방접종 핵심 정보 한눈에 보기

구분내용
접종 권장 시기9월 ~ 11월 (독감 유행 전)
2025-2026 백신 종류3가 백신 (WHO 권고)
무료 접종 대상생후 6개월~13세, 임신부, 65세 이상, 의료급여수급자, 국가유공자, 중증장애인
유료 접종 비용3가: 15,000~30,000원 / 4가: 20,000~40,000원
예방 효과약 80%, 접종 후 2주 뒤부터 6개월간 지속
접종 장소전국 위탁의료기관 및 보건소

독감예방접종, 왜 중요할까요

독감은 단순한 감기가 아닙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급성 호흡기 질환으로, 38도 이상의 고열과 함께 기침, 인후통, 근육통 등 심한 전신 증상을 동반합니다. 특히 65세 이상 어르신, 임신부, 어린이, 만성질환자는 폐렴 같은 합병증으로 입원이나 사망에 이를 수 있어 예방접종이 필수입니다.

독감 예방접종을 하면 약 80%의 예방 효과를 볼 수 있으며, 접종 후 2~4주 뒤 항체가 최고치에 달해 약 6개월간 보호 효과가 지속됩니다. 독감은 매년 12월부터 다음 해 4월까지 유행하므로, 9월에서 11월 사이 접종을 완료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독감예방접종 병원 검색

2025-2026년 무료 접종 대상자

어린이 (생후 6개월~13세)

대상: 2012년 1월 1일 ~ 2025년 8월 31일 출생자
접종 기간:

  • 2회 접종 대상: 2025년 9월 22일 ~ 2026년 4월 30일
  • 1회 접종 대상: 2025년 9월 29일 ~ 2026년 4월 30일
    준비물: 보호자 동반 필수

생후 6개월~9세 미만 어린이 중 첫 접종이거나 접종 이력이 불명확한 경우 4주 간격으로 2회 접종해야 충분한 면역이 형성됩니다. 이후 다음 해부터는 1회만 접종하면 됩니다.

임신부

대상: 임신 주수와 관계없이 임신 확인된 모든 산모
접종 기간: 2025년 9월 29일 ~ 2026년 4월 30일
준비물: 산모수첩 또는 임신확인서

임신부가 독감 예방접종을 받으면 산모뿐 아니라 태아와 신생아 보호에도 도움이 됩니다.

65세 이상 어르신

대상: 1960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
접종 기간 (연령별 구분):

  • 75세 이상 (1950.12.31. 이전 출생): 2025년 10월 15일 ~ 2026년 4월 30일
  • 70~74세 (1951.1.1.~1955.12.31. 출생): 2025년 10월 20일 ~ 2026년 4월 30일
  • 65~69세 (1956.1.1.~1960.12.31. 출생): 2025년 10월 22일 ~ 2026년 4월 30일
    준비물: 신분증

초기 의료기관 쏠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연령대별로 접종 시작일을 구분했습니다. 고령층에서 독감은 폐렴, 입원, 사망률 증가와 직결되므로 반드시 접종이 권장됩니다.

기타 무료 접종 대상

대상: 의료급여수급자(50~64세), 국가유공자 본인, 중증장애인(14~64세), 이동시설·정신시설 입소자
접종 기간: 2025년 10월 15일 ~ 12월 31일 (대상별 상이)
준비물: 신분증 및 증빙서류(의료수급자증명서, 국가유공자카드, 장애인복지카드 등)

독감 무료 접종 대상자별 비교

대상접종 시작일접종 종료일필요 서류
어린이 (2회 대상)2025.9.222026.4.30보호자 동반
어린이 (1회 대상)2025.9.292026.4.30보호자 동반
임신부2025.9.292026.4.30산모수첩/임신확인서
75세 이상2025.10.152026.4.30신분증
70~74세2025.10.202026.4.30신분증
65~69세2025.10.222026.4.30신분증
의료급여수급자 등2025.10.152025.12.31신분증+증빙서류
독감예방접종 건강 상식 노트

유료 독감예방접종 비용

무료 접종 대상자가 아닌 경우 개인 부담으로 접종해야 합니다. 2025-2026절기 독감 백신 비용은 지역, 병원, 백신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3가 백신: 약 15,000원 ~ 30,000원
4가 백신: 약 20,000원 ~ 40,000원

서울, 부산 등 대도시의 평균 접종 비용은 2~3만 원 수준입니다. 병원마다 백신 재고 상황과 가격이 다르므로 접종 전 전화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3가 백신 vs 4가 백신 차이

백신 구성 비교

구분포함 바이러스
3가 백신A형 2종(H1N1, H3N2) + B형 1종(Victoria)
4가 백신3가 백신 + B형 1종(Yamagata) 추가

2025-2026년 3가 백신으로 전환

2025-2026년 부터 세계보건기구(WHO) 권고에 따라 국내 국가 무료 접종이 3가 백신으로 전환되었습니다. B형 Yamagata 계통 바이러스가 최근 수년간 전 세계에서 검출되지 않아 3가 백신으로도 충분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미국은 2024-2025년 부터, 일본·대만·영국도 2025-2026년 부터 3가 백신을 사용합니다. 질병관리청 자료에 따르면 3가 백신과 4가 백신의 예방 효과와 안전성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독감예방접종 시기와 장소

최적 접종 시기

독감 백신은 접종 후 면역 형성까지 약 2주가 걸리므로, 독감 유행이 본격화되기 전인 9월부터 11월 사이 접종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우리나라는 주로 12월부터 다음 해 4월까지 독감이 유행합니다.

10월에서 11월 초까지 접종을 놓쳤더라도 독감 유행기 내내 예방접종이 가능하지만, 유행이 끝날 무렵에는 효과가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접종 장소

국가 무료 접종: 전국 약 17,500개 위탁의료기관 및 보건소
유료 접종: 일반 병·의원, 보건소

접종 전 의료기관에 전화로 백신 재고를 확인하고 방문하면 대기 없이 편하게 접종받을 수 있습니다.

독감예방접종 부작용

흔한 부작용

접종 부위 국소 반응: 통증, 발적, 부종 등이 가장 흔하게 나타납니다.
전신 반응: 발열, 무력감, 근육통, 두통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은 대부분 경미하며 1~2일 내에 사라집니다.

드물지만 심각한 부작용

길랑-바레 증후군: 매우 드물게 100만 명당 1~2명에서 근육마비 증상을 초래하는 길랑-바레 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갑자기 다리 힘이 약해지거나 호흡이 어려워지는 느낌이 들면 즉시 병원을 찾아야 합니다.

아나필락시스: 백신 성분에 대한 급성 전신 알레르기 반응으로, 대개 접종 후 15~30분 이내에 발생합니다. 쇼크 발생 시 즉각적인 응급처치가 필요합니다.

독감 예방 생활 수칙

개인 위생 수칙

독감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예방접종뿐 아니라 평소 개인 위생수칙을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외출 후 비누를 사용해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손을 자주 씻고,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는 손수건, 휴지, 옷깃으로 입과 코를 가려야 합니다.

씻지 않은 손으로 눈·코·입을 만지지 않고, 발열 및 호흡기 환자와의 접촉을 피해야 합니다. 환경 표면을 자주 청소·소독하고 개인물품을 공동 사용하지 않는 것도 중요합니다.

독감 의심 증상 발생 시

발열과 호흡기 증상 등 독감 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마스크를 착용하고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야 합니다. 문진 시 임상 증상과 예방접종 이력을 의사에게 알려야 합니다.

고위험군은 9월 15일부터 의심 증상만으로도 항바이러스제 처방 시 건강보험이 적용됩니다. 독감에 걸린 경우 해열된 후 24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집에서 가급적 휴식하고, 증상이 있을 때는 타인 접촉을 최소화하며 다중이용시설에 가지 않아야 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 독감 예방접종을 하면 절대 독감에 걸리지 않나요?
A. 독감 예방접종의 효과는 약 80%입니다. 예방접종을 받아도 독감에 걸릴 수 있지만, 증상이 경미하고 합병증 발생 위험이 크게 감소합니다.

Q. 독감 예방접종을 왜 매년 맞아야 하나요?
A. 독감 바이러스는 매년 변이가 일어나기 때문에 매년 새로운 백신으로 예방접종을 해야 합니다. 또한 예방 효과가 약 6개월 정도만 지속되므로 매년 접종이 필요합니다.

Q. 독감 예방접종을 받으면 감기도 예방되나요?
A. 독감 예방접종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예방이므로, 다른 감기 바이러스에는 효과가 없습니다. 감기와 독감은 원인 바이러스가 다릅니다.

Q. 건강한 성인도 독감 예방접종을 꼭 해야 하나요?
A. 건강한 성인에게는 필수는 아니지만, 고위험군(65세 이상, 만성질환자, 임신부, 어린이)은 반드시 접종이 권장됩니다. 직장생활이나 대중교통 이용으로 많은 사람과 접촉하는 경우 접종을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