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사, 가구 교체, 혹은 대청소를 앞두고 낡고 커다란 짐들을 보며 한숨부터 쉬어본 경험, 다들 있으시죠? “이 무거운 침대랑 낡은 책상은 대체 어떻게 버려야 하지?”, “스티커는 어디서, 얼마짜리를 사야 할까?” 하는 고민, 관악구 대형폐기물 처리 방법! 확실하게 알아보겠습니다.
관악구 주민이라면 누구나 마주하게 되는 대형폐기물 처리, 복잡하고 어렵게만 느껴졌다면 주목해 주세요. 스티커 가격부터 가장 쉬운 배출 신고 방법, 심지어 돈을 아낄 수 있는 유용한 꿀팁까지, 여러분의 궁금증을 속 시원히 풀어드리겠습니다.
한눈에 보는 대형폐기물 처리 핵심 요약
바쁘신 분들을 위해 가장 중요한 절차부터 요약해 드립니다. 아래 4단계만 기억하세요!
단계 | 내용 | 핵심 포인트 |
---|---|---|
1. 신고하기 | 온라인 또는 전화로 배출할 품목 신고 | ‘스마트클린 관악’ 사이트 이용이 가장 간편 |
2. 결제/스티커 발급 | 품목에 맞는 수수료 결제 및 신고필증 발급 | 온라인 결제 후 배출 번호만 적어도 OK |
3. 배출하기 | 지정 장소에 폐기물 내놓기 | 수거 전날 저녁에 집 앞 도로변에 배출 |
4. 수거 완료 | 담당 업체에서 1~3일 내 수거 | 신고필증(배출번호)이 없으면 수거 불가 |
1. ‘대형폐기물’, 정확히 어떤 건가요?
우선 무엇을 대형폐기물로 신고해야 하는지부터 알아야겠죠. 대형폐기물이란, 흔히 쓰는 종량제 봉투에 담기 어려운 모든 생활 폐기물을 말합니다.
- 가구류: 침대(매트리스, 프레임), 장롱, 책상, 의자, 소파 등
- 가전제품: 냉장고, 세탁기, TV, 에어컨 등
- 기타: 자전거, 카펫, 유모차, 이불 등 부피가 큰 생활용품
이러한 폐기물들을 신고 없이 무단으로 버리면 최대 10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으니, 반드시 정해진 절차를 따라야 합니다.
2. 가장 중요한 ‘신고’, 어떻게 할까요? (온라인 vs 전화)
관악구에서 대형폐기물을 신고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입니다. 각 방법의 장단점을 비교해 보고 본인에게 편한 방법을 선택하세요.
구분 | 온라인 신고 (PC/모바일) | 전화 신고 |
---|---|---|
이용 방법 | ‘스마트클린 관악’ 홈페이지 접속 후 신청 | 관악구청 청소행정과 콜센터로 전화 |
신청 시간 | 24시간 언제든지 가능 |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 |
결제 수단 | 신용카드, 계좌이체 등 | 가상계좌 무통장 입금 |
스티커 | 신고필증 출력 또는 배출번호 기재 | 문자로 받은 배출번호 기재 |
추천 대상 | 스마트폰/PC 사용이 익숙하고, 밤이나 주말에 신청해야 하는 분 | 인터넷 사용이 어렵거나, 품목 문의가 필요한 어르신 |
온라인 신고 상세 절차 (강력 추천!)

- ‘스마트클린 관악’ 홈페이지 접속: 검색창에 ‘스마트클린 관악’을 검색하여 접속합니다. 회원가입 없이 ‘비회원 신청’으로도 가능합니다.
- 정보 입력: 이름, 연락처 등 기본 정보와 폐기물을 배출할 장소(주소)를 정확히 입력합니다.
- 품목 선택 및 결제: 버릴 폐기물 품목을 검색하여 선택하고 수수료를 확인한 후, 신용카드나 계좌이체로 결제합니다.
- 신고필증(배출번호) 확인: 결제가 완료되면 신고필증이 화면에 나타납니다.
- TIP: 프린터가 없어도 전혀 문제없습니다! 신고필증에 적힌 ‘배출번호’를 유성펜 등으로 종이에 크게 적어 폐기물에 잘 보이게 붙이면 스티커와 동일한 효력을 가집니다.
전화 신고 상세 절차
- 관악구청 콜센터(☎ 02-882-5677)로 전화합니다.
- 상담원에게 배출할 품목, 주소, 배출 예정일을 알려줍니다.
- 상담원이 수수료와 입금할 가상계좌 번호를 문자로 안내해 줍니다.
- 계좌이체로 수수료를 입금하면, 잠시 후 배출번호가 문자로 발송됩니다.
- 문자로 받은 배출번호를 종이에 적어 폐기물에 부착 후 배출합니다.
3. 가장 궁금한 ‘스티커 가격’, 얼마일까요?
대형폐기물 수수료는 품목의 종류와 규격에 따라 달라집니다. 관악구의 주요 품목별 스티커 가격은 아래와 같습니다(2025년 기준).

분류 | 품목 | 규격 | 수수료(원) |
---|---|---|---|
가구 | 장롱 | 2자(60cm) 기준 | 8,000 |
책상(편수) | 1.2m 이하 | 4,000 | |
의자 | 1인용 | 2,000 | |
침대 매트리스 | 1인용 | 7,000 | |
침대 프레임 | 1인용 | 6,000 | |
가전 | 냉장고 | 300L 이하 | 10,000 |
700L 이상 900L 미만 | 15,000 | ||
세탁기 | 10kg 이하 | 7,000 | |
텔레비전 | 대각선 107cm 이상 163cm 미만 | 6,000 | |
기타 | 가스레인지 | 단일/2구 | 3,000 |
자전거 | 1대 | 3,000 |
※ 주의: 위 표는 대표적인 품목이며, 전체 품목과 정확한 가격은 ‘스마트클린 관악’ 홈페이지에서 신고 시 직접 확인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규격이 애매하거나 목록에 없는 품목은 전화로 문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4. 똑똑하게 버리는 ‘배출 및 수거’ 노하우
신고와 결제를 마쳤다면 이제 버리는 일만 남았습니다.
- 배출 시간: 수거일 전날 해가 진 후부터 수거 당일 아침 동트기 전까지가 가장 좋습니다.
- 배출 장소: 내 집·내 점포 앞 등 차량 진입이 쉬운 도로변에 다른 쓰레기와 섞이지 않게 배출합니다.
- 수거: 신고 후 보통 1~3일 이내에 수거팀이 방문하며, 주로 오전 6시에서 10시 사이에 수거가 이루어집니다.
- 부착 확인: 배출번호가 적힌 종이나 신고필증이 바람에 날아가거나 훼손되지 않도록 테이프 등으로 단단히 고정해야 합니다. 스티커가 없으면 수거하지 않으며, 무단투기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5. 돈 버는 ‘무상수거 서비스’ 적극 활용하기!
비용을 내고 버리기 아까운 폐가전 제품이 있다면 ‘폐가전 무상방문수거 서비스’를 이용하세요.

- 신청 방법: 인터넷(15990903.or.kr) 또는 전화(☎ 1599-0903)로 예약.
- 수거 품목:
- 단일 수거 가능: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TV, 전자레인지 등 1m 이상 크기의 가전제품
- 5개 이상 동시 배출 시 수거 가능: 컴퓨터 본체/모니터, 프린터, 선풍기, 청소기, 전기밥솥 등 소형 가전제품.
- 장점: 수수료가 무료일 뿐만 아니라, 수거 기사님이 집 안까지 들어와 직접 수거해가므로 무겁게 운반할 필요가 없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Q&A
Q1: 꼭 신고해야 하나요? 그냥 밤에 몰래 버리면 안 되나요?
A: 절대 안 됩니다. 관악구는 무단 투기를 집중 단속하고 있으며, 적발 시 10만 원에서 최대 10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특히 차량을 이용해 버리는 경우 5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몇천 원 아끼려다 수십 배의 과태료를 낼 수 있습니다.
Q2: 스티커를 오프라인으로 사고 싶은데 어디로 가야 하나요?
A: 동 주민센터나 지정된 편의점에서 구매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온라인 신고 후 배출번호를 적는 방식이 훨씬 간편하고 시간 제약도 없어 추천합니다.
Q3: 배출했는데 3일이 지나도 수거를 안 해가요. 어떻게 하죠?
A: 먼저 신고필증이 제대로 부착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만약 이상이 없다면 관악구청 청소행정과(☎ 02-882-5677)로 전화하여 신고번호를 알려주고 수거 누락 민원을 접수하시면 됩니다.
이제 관악구에서 대형폐기물을 버리는 일, 더 이상 어렵지 않으시죠? 이 글에서 알려드린 방법만 잘 숙지하신다면 불필요한 과태료 걱정 없이, 가장 효율적으로 대형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깨끗하고 쾌적한 우리 동네를 만드는 일, 올바른 폐기물 배출에서부터 시작됩니다.